부모는 은퇴를 못 하고 아들·딸은 취업을 못 합니다.<br /><br />뫼비우스의 띠처럼 도무지 풀리지 않는 우리 고용 현실이 서울시 통계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올해 1분기 기준 서울시 전체 취업자는 507만 명입니다.<br /><br />연령대별로 보면, 20대가 82만6천 명, 30대 126만2천 명, 40대 122만7천 명, 50대 112만2천 명, 60대 이상이 89만3천 명으로 집계됐는데요.<br /><br />눈에 띄는 건 20대와 50대 취업자의 비율입니다.<br /><br />20대 취업자는 전체의 16%에 불과한 반면, 50대 취업자는 112만 명을 넘어 전체 취업자의 22% 이상을 차지합니다.<br /><br />대학을 졸업한 청년은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, 은퇴한 중·장년층은 생계와 자녀 부양을 위해 다시 취업 전선에 뛰어들고 있다는 건데, 이 같은 추세가 해마다 반복되면서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10년 20대 청년 취업자는 90만 명에서 2015년 83만5천 명으로 7.5% 줄어든 반면, 같은 시기 50대 취업자는 96만7천 명에서 114만8천 명으로 무려 18% 넘게 늘었습니다.<br /><br />60세 이상 취업자는 더욱 극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는데요.<br /><br />2010년 44만4천 명에서 2015년 61만8천 명으로 5년 만에 39%나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취업 문 뚫기가 힘들다 보니, 최근 청년 취업준비생의 절반 이상이 '공시족'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'공시족', 각종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신조어인데요.<br /><br />이른바 '취업전쟁', '공시전쟁' 속에서 공시생이 시험지를 훔치러 정부청사에 침입하는 씁쓸한 사건까지 벌어졌던 겁니다.<br /><br />일자리가 없으면, 결혼도 늦어지게 마련이죠.<br /><br />실제 지난 5월에 한국경제연구원은 미취업자의 결혼 가능성이 취업자의 5분의 1에 불과하다는 분석을 내놓은 적이 있는데요.<br /><br />취업난이 만혼, 비혼으로 이어지고 이런 결혼문화가 다시 저출산으로 이어집니다.<br /><br />저출산은 고령화 사회와 노인 빈곤으로 이어지고 이런 악순환 속에 결국, 은퇴 없이 일하는 노년이 우리의 미래가 될지도 모르겠습니다.<br /><br />나연수[ysna@ytn.co.kr]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71218014947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